Back/Spring18 Day10_#5_IntelliJ 스프링부트 View Template 페이지에 레이아웃 나누기 Mission 뷰 템플릿 페이지에 헤더-푸터 레이아웃 적용하기 레이아웃은 한 화면에 여러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헤더-푸터 레이아웃을 적용한다. 저번에 MVC 패턴 공부할 때 만든 서버를 그대로 사용했다. View에 작성한 코드를 content에 두고 앞뒤로 헤더와 푸터 레이아웃을 만들어줄거다. 예쁘게 꾸미려면 에너지 소모가 크니 https://getbootstrap.com 이걸 사용할거다. getbootstrap은 CSS 모음으로 디자인을 대신 해준다. getbootstrab 페이지에 들어가서 보라색 Read the docs 클릭하고 좌측 네비게이션에 뜨는 Getting Started에 RTL 클릭 그럼 이렇게 Starter Template 코드를 복사할 수 있다. 이걸 그대로 긁.. 2023. 5. 30. Day9_#4_IntelliJ 스프링부트 MVC_Bye 요청 페이지 만들기 localhost:8080/hello 위 링크를 입력했을 때 "Nice to meet you, Xia :)"가 나오도록 만들었으면, 이번에는 hello 대신 bye를 입력했을 때 페이지가 나오도록 만든다. 위 링크로 접속하면 해당 요청을 받아줄 Controller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에러 페이지가 뜬다. 새로운 컨트롤러를 만드는 게 아닌 기존에 있던 hello 컨트롤러에 추가할거다. 앞전에 hello 페이지를 만들 때와 마찬가지로 Controller를 연결해줘야하기에 @GetMappint("/bye") 를 선언해주고 public String seeYouNext 를 선언해준다. 다음으로 보여질 View Template 페이지를 연결해줘야하는데 return "goodbye"; 를 입력한다. 아직 goodb.. 2023. 5. 30. Day8_#3_IntelliJ 스프링부트 MVC 패턴_공부 https://xia-it.tistory.com/9 Day6에 MVC 패턴을 통해 브라우저에 스프링부트(서버)의 View Template을 출력하는 걸 해봤다. 위 사진처럼 실행을 시켜주고 http://localhost:8080/hello 해당 링크로 브라우저에 접속하면 우측 사진처럼 뜨는 걸 했는데, 오늘은 MVC가 어떻게 작동되는 지 그 과정을 공부할거다. http://localhost:8080/hello 로 접속한 걸 Controller가 받아서 빨간 박스 부분의 hello 메소드가 수용된다. 그리고 메소드 마지막 줄의 return 값인 "greetings" View Page를 찾아서 보여준다. greetings.mustache라는 이름의 View Page에서는 {{username}} 이라는 변수를.. 2023. 5. 29. Day6_#2_스프링부트 MVC 패턴_View 템플릿으로 웹페이지 만들기 저번 스프링 부트 환경 세팅을 한 데 이어 MVC 패턴을 활용해 페이지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우선 저번에 서버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추가했던 mustache dependencies가 MVC의 View 템플릿을 만드는 도구이다. Mustache Plugins 설치 이를 활용하려면 Mustache Plugins을 설치해줘야하는데 Help → Find Action... plugins 검색 → plugins 더블클릭 Plugins → Marketplace → Mustache 검색 → Handlebars/Mustache install View Template 저번에 열었던 워크스페이스에 들어가서 src → main → resources → templates 우클릭 → New → File 제목.mustache 형태.. 2023. 5. 28. Day5_#1_IntelliJ 인텔리제이 스프링부트 개발환경 만들기 IntelliJ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 후 Hello World를 출력하려고 한다. 우선 프로젝트를 만들어야하는데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된다. 보통 기본 설정대로 하면 되는데, 여기서 좌측 하단의 자바 선택은 자바 버전을 확인해서 선택하면 된다. /usr/libexec/java_home -VCopy java -version 위 두 가지 중 아무거나 터미널에서 복붙하면 자바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Arifact가 프로젝트 제목을 설정하는 란이라 저기에 원하는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면 된다. 여기까지가 좌측의 설정이고, 우측 Dependencies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도구를 설정해주는 창이다. ADD Dependencies를 선택해서 필요한 도.. 2023. 5. 26. Day4_Eclipse 스프링 부트 환경 만들기 / JDK, Eclipse 버전 업그레이드 첫 번째로 Eclipse의 버전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STS버전 IDE를 설치한다. STS 스프링 여기서 STS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이 기능은 스프링 프로젝트의 생성, 구성, 디버깅, 테스트, 배포 등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TS는 스프링 부트(Spring Boot) 및 스프링 클라우드(Spring Cloud)와 같은 스프링 기반 프레임워크와의 통합을 강화하고, 스프링 개발자들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스프링 관련 문서, 튜토리얼, 샘플 프로젝트 등을 포함한 추가 자원도 제공하는 기능이다. STS를 다운받기 위해 Help → Eclipse User Storage → Open MarketPlace Favorite.. 2023. 5.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