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42

Day25_Read 코드 작성 JDBC의 4단계 1. 드라이버 로딩(설정) 2. DB 연결(url(ip + port + DB), id, pw 3. SQL문 작성 SQL문 전송 음 날아갔다. 드라이브쓰루나 가야지. 2023. 6. 15.
Day24_CRUD jsp 완성 과제 Day23에서 jsp를 작성하는 법을 배웠는데, 그에 이어서 회원가입, 탈퇴 페이지, 게시판 글쓰기, 글 삭제, 글 수정 페이지의 jsp를 완성하는 게 과제였다. member.html과 update.html 파일이 회원정보 페이지와 회원수정 페이지다. 이 부분 서버를 실행시켜주면 아래와 같이 뜬다. 회원의 아이디와 전화번호를 수정하도록 되어있는데, DBeaver에서 입력받은 ID를 확인한다. DB에 올라가있는 ID만 수정이 가능하고, 그 외의 ID는 수정이 불가하다. update.html파일을 통해 아이디와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창이 있으니, 이제 데이터를 받아서 sql문을 만들어 DB로 보내는 jsp파일을 만들어주면 된다. update.jsp는 insert.jsp와 동일한데, sql문만 다르므로 inse.. 2023. 6. 15.
Day23_html, CSS, 서버, DB 간의 관계성 우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 이클립스에서 Cmd + N을 눌러 새로운 Dynamic Web Project를 생성해준다. 이름은 Web001로 설정했다. Java Resources에 src 우클릭 → package 생성 → com.multi.mvc001 을 해주고, 강사님이 올려주신 html, css파일인 WebContent 파일들을 복붙해줬다. html을 제외한 jsp파일들은 지워주고 index.html을 첫 페이지로 하여 톰캣 서버를 실행시켜준다. 요렇게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 동기식 통신 : 브라우저에 주소를 넣어주면, 브라우저가 서버로 주소와 같이 데이터를 http로 만들어서 요청을 보낸다. 여기서 브라우저의 주소를 넣는 방법은 태그와 태그 두 가지다. jsp를 만들어볼건데, jsp는 J.. 2023. 6. 14.
Day22_DBeaver 설치 및 세팅, MySQL 연결, Tool 사용법 DBeaver 설치 후 세팅 Test Connection을 눌러주면 뭔가 다운하라는 창이 뜬다. 다운로드 해주고 다시 하면 된다. 나는 또 오류가 났는데, 서버가 안켜져있어서 아래와 같이 서버를 켜고 비밀번호 설정도 해줬다. mysql.server start mysql_secure_installation mysql -u root -p 서버를 켜주니 연결이 됐다. 이제 Finish를 눌러 세팅을 끝내준다. localhost에 Database 우클릭 → Create New Database 이름은 소문자 영문으로, Charset은 utf8mb4로 설정해준다. 생성된 shop에 Tables에서 우클릭을 해주고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해주어 아래와 같이 입력해줬다. 테이블에는 테이블 이름, 속성들을 입력하는 컬럼(열.. 2023. 6. 13.
Day20_#9 IntelliJ 스프링부트 롬복과 리팩터링 Lombok을 사용해서 늘어진 코드 간소화 및 Println 메소드를 Logging으로 변환 - Lombok : 코드를 간소화시켜주는 라이브러리 - Logging :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 - Refactoring : 코드의 구조 또는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 롬복은 getter(), setter(), constructor(), toString() 등을 매번 작성하기 귀찮은 사람들을 위한 도구로, Lombok을 통해 필수코드의 반복을 최소화할 수 있고 로깅 기능을 통해 Println 또한 리팩토링 할 수 있음. 롬복을 먼저 설치해야하는데, IntelliJ에서 프로젝트를 열었을 때 보이는 코끼리 아이콘의 build.gradle을 열면 여러 코드가 뜬다. 그 중 dependencies에는 스.. 2023. 6. 8.
Day19_#8 IntelliJ DB테이블과 SQL Mission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DB에서 확인 DB에 저장된 데이터는 테이블이라는 엑셀처럼 생긴 표에 저장되는데, 행은 Raw, 열은 Column이라 한다. 지난 번에 만들었던 Article NTT를 예로 들면 ID, Title, Content의 속성들이 열(Column)에 입력되고 줄마다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데이터들은 생성, 조회, 수정, 삭제되기도 한다. DB 내에서는 SQL이라는 언어를 통해 CRUD가 처리되는데 Insert = Create, Select = Read, Update = Update, Delete = Delete 네 가지가 기본적인 SQL이다. Println으로만 확인하는 게 아니라 직접 DB에 접근해서 확인을 해볼건데, 이를 위해서 H2 DB 설정을 해줘야한다. src → m.. 2023. 6. 7.